반응형
현실적인 월 예산 짜는 법: 초보자용 50:30:20 전략
월급을 받아도 어디에 얼마나 써야 할지 감이 안 온다면, ‘예산 분배 기준’이 없기 때문일 수 있어요.
그럴 땐 복잡한 가계부보다 먼저 50:30:20 전략 하나만 제대로 익혀보세요.
수입이 많든 적든, 이 구조만 알아도 지출 통제가 쉬워집니다.
📌 50:30:20이란?
가장 널리 쓰이는 예산 배분 공식으로, 월 수입을 3가지로 나눠 쓰는 방식입니다.
- 50%: 꼭 필요한 지출 (생활비, 고정비)
- 30%: 원하는 지출 (여가, 쇼핑, 외식)
- 20%: 미래를 위한 저축·투자
이 구조를 따르면, ‘쓴 돈’, ‘즐긴 돈’, ‘모은 돈’이 균형 있게 관리됩니다.
📌 예시: 월 수입 200만 원 기준
구분 | 비율 | 금액 | 내용 |
---|---|---|---|
필수 지출 | 50% | 1,000,000원 | 월세, 통신비, 교통비, 식비 등 |
자유 지출 | 30% | 600,000원 | 외식, 카페, 쇼핑, 문화생활 |
저축/투자 | 20% | 400,000원 | 적금, 비상금, 투자, 보험 |
물론 개인 상황에 따라 조금씩 조정해도 괜찮습니다.
중요한 건 이 비율 기준을 몸에 익히는 것이에요.
📌 꼭 기억해야 할 3가지 팁
1. 고정비부터 먼저 배정하자
집세, 보험료, 교통비처럼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돈은 가장 먼저 체크해야 할 항목입니다. 여기서 전체 50%를 넘기면, 다른 지출이 빠듯해져요.
2. 자유 지출은 ‘주간 예산’으로 쪼개기
30%에 해당하는 소비 항목은 주간 단위로 나눠 쓰면 조절하기 훨씬 쉽습니다.
예: 주 15만 원 한도로 쇼핑+카페+외식 사용
3. 저축은 남는 돈이 아니라 ‘먼저 떼는 돈’
20% 저축은 가장 먼저 자동이체로 빼놓는 습관이 중요해요.
안 그러면 결국 매달 저축은 제일 마지막 순위가 됩니다.
📌 수입이 불규칙할 땐?
고정 월급이 없더라도 이 전략을 응용할 수 있어요.
- 기본 생활비를 최소 수준으로 계산 → 이걸 기준으로 50%
- 한 달 평균 수입의 20~30%는 무조건 비상금/저축으로 빼두기
- 남는 돈이 생기면 자유지출로 쓰거나 추가 저축
핵심은 ‘쓸 수 있는 금액의 상한선을 정하는 것’이에요.
✔️ 마무리 요약
- 50:30:20 예산법은 돈 관리에 ‘기준’을 만들어줍니다
- 자유지출이 과하면 저축이 흔들리고, 저축이 먼저면 소비도 통제됩니다
- 자신의 수입에 맞게 약간 조정해도 OK
이번 달은 월급 받은 날, 통장 앞에 앉아서 50:30:20으로 한 번 나눠보세요.
그 순간부터 돈이 모이는 구조가 시작됩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