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사회초년생이 돈을 모으는 7가지 기본 전략

by _Soo_ 2025. 3. 23.
반응형

 

사회초년생이 돈을 모으는 7가지 기본 전략

처음 사회에 진입한 사회초년생들에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바로 “어떻게 돈을 모을 수 있을까?”입니다. 월급은 들어오지만 남는 돈은 없고, 계획 없이 지출하다 보면 어느새 통장은 바닥을 드러냅니다. 하지만 올바른 전략과 습관만 있다면, 누구든지 체계적으로 돈을 모으는 삶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.

1. 월급 통장부터 분리하라: 통장 쪼개기의 힘

돈을 모으기 위한 첫걸음은 통장을 목적별로 분리하는 것입니다. 흔히 말하는 '통장 쪼개기' 전략입니다. 기본적으로 다음의 3개 통장을 구성하세요:

  • 월급 통장: 수입이 들어오는 기본 통장
  • 소비 통장: 고정비 + 생활비만 따로 설정
  • 저축 통장: 자동이체로 저축되는 통장

각 통장의 목적을 분명히 하면,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자산을 관리하기 쉬워집니다.

2. 고정 지출부터 분석하라

고정 지출은 매달 빠져나가는 지출입니다. 월세, 교통비, 핸드폰 요금, 구독 서비스 등 '자동지출 항목'을 먼저 점검하세요. 불필요한 구독 서비스를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매달 3~5만 원은 아낄 수 있습니다.

3. 70:20:10 예산 분배법 적용

많은 재테크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예산 분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70% - 생활비 (식비, 교통비 등)
  • 20% - 저축 및 투자
  • 10% - 자기계발 또는 여가

자신의 수입에 맞게 이 비율을 조정하면서, 강제 저축 습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.

4. 선(先)저축 후(後)소비의 습관 만들기

돈을 모으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“먼저 저축하고 남은 돈으로 소비”한다는 점입니다. 월급이 들어오는 날 자동이체로 저축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해두면,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돈이 쌓이게 됩니다.

5. 소비 습관 점검: 한 달 소비 리포트 작성

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본인의 소비 패턴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먼저입니다. 한 달간 지출을 기록하고, 꼭 필요한 소비와 불필요한 소비를 구분해보세요. 이를 통해 지출 구조를 재설계할 수 있습니다.

6. 비상금 계좌 만들기

갑작스러운 지출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금 계좌를 따로 마련하세요. 3개월치 생활비 정도를 목표로 모아두는 것이 좋으며, 쉽게 인출할 수 없는 CMA 계좌 등을 활용하면 더 좋습니다.

7. 금융 리터러시 향상: 재테크 책/콘텐츠 보기

사회초년생 시기에는 금융 기초 지식을 쌓는 것도 중요합니다. 추천 도서, 유튜브 채널, 블로그 등을 통해 재테크 기본 개념을 익히고,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합니다.

마무리하며

돈은 단순히 아낀다고 모이는 것이 아닙니다. 목적 있는 관리와 습관화가 병행되어야 비로소 돈이 쌓이고, 자산이 됩니다. 오늘 소개한 7가지 전략을 기반으로, 지금부터라도 작은 변화를 시작해보세요. 이 글이 여러분의 첫 재테크 습관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


다음 글에서는 통장 쪼개기를 더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
반응형